[어쩌다 성공한 워드프레스 블로그 세팅기]
“숫자로 된 내부 IP 주소로 접속하세요”
시놀로지 네트워크를 이것저것 설정하다 보니 ‘안전하지 않은 사이트’에서는 벗어났는데,
갑자기 DSM 페이지에서 퀵커텍트로 연결할 경우에는 이 패키지(여기서는 phpmyadmin였고, wordpress도 안되는 걸 확인함) 접속을 안 시켜 준답니다.
다행히 당장 phpmyadmin에 접속할 일이 없기는 하지만, 영 찝찝한 마음이 들어 방법을 찾아봅니다.
아이디.synology.me/phpmyadmin으로 들어가봐도 오류가 뜹니다 ㅠㅠ
(네트워크 무식자라 뭐가 문제인지, 아니 뭐가 문제의 여지를 주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-_-)
블로그들을 찾아봐도 혼란만 더해지네요.
원인은 알지 못해도 제가 원할 때 접속만 할 수 있으면 되는데 만만치 않습니다.
이것저것 주소를 넣어보다 접속 가능한 방법을 찾았습니다. 네트워크 설정을 바꾸기 전에 접속했던 숫자 주소가 방법이었네요.
숫자로 지정된 내부 IP 주소/phpmyadmin로 접속하면 됩니다!
내부 IP 주소 확인하는 방법
제어판 -> 네트워크 -> 네트워크인터페이스 -> LAN포트 -> IP 주소
IP 주소를 확인한 후 주소 창에
192.XXX.XXX.XXX/phpmyadmin
을 입력하면 됩니다. 드디어 접속창이 뜹니다.
반갑네요;;
그런데 내부 IP 주소를 통해 접속하니 ‘주의 요함’이 떠서 (또 뭔가 싶은 마음에;;) 클릭을 해봅니다.
내부망이라 보안 인증서가 없어서 그런 것 같은데, 접속하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. 로그인 잘 되고요.
워드프레스도 192.XXX.XXX.XXX/wordpress로 입력하면 접속이 가능합니다.
내부 IP주소/photo, 내부 IP주소/video 등 file station에 있는 폴더 이름을 내부 IP주소와 함께 입력하면 (형식:192.XXX.XXX.XXX/폴더 이름)으로 해당 폴더 접속이 가능하고요.
퀵커넥트나 외부 접속 등이 잘 안되어서 DSM 접속이 안된다면 내부 IP:5001(192.XXX.XXX.XXX:5001)로 접속하면 됩니다. 이때 역시 보안 관련 경고는 뜹니다.
이제 마음만 먹으면 시놀로지든, phpmyadmin이든 접속할 수 있습니다.